앞서 생각하는 기업, 신뢰할 수 있는 기업이 되겠습니다.
◎ 이중보온관 개요
기존 배관 보온(보냉) 작업 시 유리면, 암면, 펄라이트 등의 단열재를 사용하여 외부 Casing작업하는 복잡한 현장보온 배관 방식과는 달리, 단열재 중 보온성이 가장 우수한 경질폴리우레탄폼을 사용하여 Jacket Pipe 포함 공장에서 완벽하게 보온 제작되어진 배관을 말한다.
- 공주공장
◎ 이중보온관 특징
- 자유로운 사양 선택
• 내관, 보온재, 외관의 재질 및 규격에 관계없이 자유로운 호환 생산 가능
• 내관(외관) : 강관, STS관, 내충격수도관, 동관, PE관, AL. Spiral관 외에 종류 및 사양에 관계없이 자유로운 호환 생산 가능
• 보온재 : 두께에 관계없이 호환 생산 가능
- 간편한 시공성
• 파이프 및 각종 Fitting류가 공장에서 보온화되어 제품이 생산되므로 시공 시 기존 보온방법과는 달리 공사기간과 경비가 절감되고 완벽한 보온공사가 가능
- 탁월한 경제성
• 배관시공 시 현장 보온작업이 불필요하므로 시공비 및 공사기간 단축
• 탁월한 보온재를 사용하여 열손실량이 거의 없으므로 유지비(운전비) 절감
• 정기적인 보온재 교체 및 수리 불필요
- 우수한 내구성
• 외부와 완전히 차단되어 수분, 공기, 박테리아 유입 등의 염려가 없으므로 수명 및 보온효과 우수
• 지중 및 수중 정전기에 의한 내관 부식이 미비
- 넓은 사용 범위
• 온도, 압력, 유체종류의 제한이 거의 없음
• 사용 온도 : -60℃ ~ 600℃
• 적용 유체 : 증기(Steam), 냉. 온수, 응축수, 기타 화학류 등
- 탁월한 보온 단열성
• 현존 보온재 중 열전도율이 가장 낮은 경질 폴리우레탄폼(Rigid Polyurethane Foam)을 단열재로 사용하여 단열성이 우수함
• 120℃ 온수를 40㎞ 수송 시, 온도 강하는 1℃ 미만
◎ 각종 단열재의 열전도율 비교
단열재 | 열전도율 (㎉/mh℃) |
동일 연손실량일때의 단열두께 비교(㎜) |
종류 |
---|---|---|---|
경질 폴리우레탄 폼 | 0.025 이하 | 10 | 보온통 1호 |
유리면 | 0.037 이하 | 14.6 | 보온통 2호 |
암면 | 0.040 이하 | 16.0 | 보온통 |
규산칼슙(시리카) | 0.042 이하 | 16.3 | 보온통 2호-17 |
발포 폴리스틸렌 | 0.033 이하 | 13.2 | 13.2 |